

테니스장 면적 안내
"국제규격부터 실속 있는 사급까지, 공간에 맞는 최적의 코트를 선택하세요"
국제규격 테니스장 – 정식 경기용의 표준
국제테니스연맹(ITF) 및 대한테니스협회(KTA) 기준에 따르면, 정규 테니스장은 아래와 같은 구조를 갖습니다.
국제대회 및 공인 경기 운영이 가능한 표준 코트입니다.
넓은 동선과 충분한 여유 공간으로 경기력 향상에 유리합니다.
구분 | 거리 |
코트 본체 | 23.77m × 10.97m |
백스탑(후면 여유공간) | 양쪽 각 8.23m |
사이드스탑(측면 여유공간) | 양쪽 각 4.57m |
총 면적 | 약 40.23m × 20.11m = 810㎡ |
사급 테니스장 – 공간 절약형 실속 코트
생활체육이나 실내외 소규모 시설에서는 사급 테니스장이라는 더 실용적인 구조가 많이 활용됩니다.
부지가 협소한 학교, 옥상, 실내 체육관, 소규모 체육시설에 적합합니다.
경기 자체에는 지장이 없고, 시공 예산과 유지관리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선택입니다.
유형 | 면적 예시 |
사급 기준 (백스탑 5~6m, 사이드스탑 3m) | 약 570~607㎡ |
최소형 (백스탑 4m, 사이드스탑 2.5m 이하) | 약 500㎡ 전후 |


테니스장 설계 및 규격



콘크리트 테니스장 토목
“땅 위의 구조물을 지탱하는 가장 확실한 기초”
왜 콘크리트 기초가 중요할까요?
콘크리트는 토목 구조물의 기본이자 핵심입니다. 단단한 콘크리트 기초는 지반의 힘을 고르게 분산시켜 지속 가능한 구조물의 수명을 보장합니다.
특히 테니스장, 풋살장, 주차장, 데크 등 바닥 하중이 반복되는 시설에는 강도와 내구성을 갖춘 콘크리트 시공이 필수입니다.
콘크리트 토목 시공 과정
1. 지반 정비
"땅을 단단하게 눌러 구조물을 안전하게 지탱할 수 있도록 만드는 작업"
• 원지반(흙)을 굴착 및 정지작업, 수평작업
• 잡석, 쇄석 150~200mm를 깔고 다짐
단계 | 설명 |
1. 굴착 또는 평탄 작업 | 수풀, 잔돌, 기존 구조물 제거 후 평탄하게 고름 |
2. 물을 뿌림 | 적당한 수분 함량을 유지해 다짐력 향상 (너무 마르면 잘 안 다져짐) |
3. 진동다짐기 사용 | 콤팩터, 롤러 등 장비로 다짐 |
4. 다짐 확인 | 발로 밟아도 꺼지지 않는 수준 |
2. 방습 비닐 시공
• 0.08mm 이상 방습 비닐 사용
• 콘크리트 수분이 땅으로 빠지는 걸 막음
• 균일한 콘크리트 품질 유지
3. 와이어메쉬 배근
• 철근 격자망 #8 (직경 2.5~4mm, 150mm 간격)을 배근
• 콘크리트 균열 억제 및 하중 분산 역할
• 하단 1/3 높이에 스페이서로 정확히 고정
4. 콘크리트 타설
• 일반적 배합: 25MPa 강도 [1cm²(손톱만한 면적)에 약 250kg의 힘을 버틸 수 있음] / 슬럼프 200mm / 골재 최대입경 12mm
• 펌프 타설로 넓은 면적에 균일한 시공 가능
• 두께는 용도에 따라 150~200mm
• 경사로 0.83%이하(ITF기준)
5. 비닐 양생
“양생이 품질을 결정합니다. 강도, 내구성, 수명까지!”
• 콘크리트는 타설 후 28일 동안 수화반응을 통해 강도를 형성
• 이 과정에서 수분이 너무 빨리 증발하거나, 온도가 급격히 변화하면 표면 균열, 강도 저하, 내부 박리현상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 양생은 콘크리트의 품질을 좌우하는 마지막 공정
구분 | 기간 | 설명 |
초기 양생 | 3일 이상 | 비닐, 타포린 등으로 수분 유지 |
표준 양생 | 7일 이상 | 강도 70~80% 도달, 표면 안정화 |
완전 양생 | 28일 | 설계 강도 100% 도달 시점 |
6. 줄눈 작업 / 조인트 시공
“보이지 않게 지켜주는 바닥의 안전장치”
• 건조수축에 따른 균열 방지 : 콘크리트는 양생 중 수축하며 미세한 균열 발생 → 줄눈이 균열을 분산시켜 줌
• 온도 변화 대응 : 외부온도 차이로 인한 팽창/수축 반복 → 줄눈이 압력 완충 작용

타포린 마감형 테니스장 토목
“타포린 한 겹으로 침하 방지와 방수 보호까지 한 번에”
이런 분들에게 추천합니다!
• 무거운 콘크리트가 부담스러운 공간
• 옥상 방수층이 손상되어 걱정되시는 분
• 철거 가능한 임시 체육시설·잔디 데크를 계획 중이신 분
• 기초 콘크리트 없이 인조잔디를 시공하고 싶은 분
야외 타포린 마감형 테니스장 토목의 장점
1. 잡석/석분층 유실 방지 → 침하 위험 감소
• 석분은 입자가 작아, 바람·빗물·중력으로 인해 유실될 수 있음
• 타포린이 하부 재료를 눌러 고정, 비포장 구조물의 흔들림 최소화
• 비 오는 날에도 지지층 안정성 확보
2. 불규칙한 표면을 고르게 정리
• 석분은 다짐하더라도 미세하게 굴곡이 남기 쉬움
• 타포린을 깔면 그 위에 잔디나 마감재가 더 평탄하게 깔림
• 쿠션감 확보 + 표면 마감 품질 향상
3. 정비·교체 시 분리 쉬움
• 잡석이나 석분 위에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타포린을 기준으로 위/아래 자재 분리가 쉬움
• 유지보수나 하부층 교체할 때 빠르고 효율적인 작업 가능
옥상 타포린 마감형 테니스장 토목의 장점
1. 방수층 손상 최소화
• 기존 옥상 방수층 위에 직접 시공 가능
• 코팅면이 손상된 곳에도 2차 차수층 역할 수행
2. 시공 시간 단축
• 양생 필요 없음 → 하루 만에 인조잔디 시공 가능
• 날씨 영향 적고, 공정 전환 빠름
기대 효과
• 콘크리트 기초가 불가능한 장소에서도 완성도 높은 마감 가능
• 유지관리 편하고, 철거·이전도 자유로운 유연한 공간 설계 실현
• 공사비 절약, 시공 시간 절약

측구 배수로・벤치플륨관・집수정
"테니스장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빗물, 지하수 등을 외부로 빠르게 배출하기 위한 구조물"
• 벤치플륨관 : 윗부분에 홈이 없음 (보행자용) / 날개형 스틸그레이팅 사용
• 측구수로관 : 윗부분에 홈이 있어 발받침 역할을 해주는 스틸그레이팅을 바로 올릴 수 있음 (보행자용 + 차량용) / 스틸그레이팅 사용
• 집수정 : 배수로(측구)와 배수관(벤치플륨관)에서 모인 빗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토사·이물질을 가라앉힌 후, 외부 우수관으로 유출시키는 중간 정화조 구조물
1. 위치 선정 & 높이 기준 설정
• 코트 경사를 따라 빗물이 자연스럽게 흘러가는 가장자리에 배치
• 집수정 연결 고려한 수위 차이(레벨) 확보
2. 굴착 & 바닥 다짐
• 설계 깊이만큼 땅을 파고
• 바닥에 잡석 50~100mm 포설 후 진동다짐 / 버림콘크리트 50~100mm 타설
3. 측구수로관 설치
• 연결부 틈 없이 정렬, 그레이팅 홈 포함 구조 정밀 설치
4. 측면 메움 & 마감
• 양옆 공간을 채워 고정
• 필요 시 상부 스틸 그레이팅 설치로 보행 안정성 확보

대한테니스협회 인증 스포츠 인조잔디
"대한테니스협회(KTA) 인증 스포츠 인조잔디인 숨터프와 킹터프는 테니스장 시공에 최적화된 성능을 갖춘 고급형 인조잔디"
숨터프 / 킹터프 20mm
경기력·내구성·안전성, 모두를 만족시키는 공식 인증 잔디
믿을 수 있는 품질, KTA 인증 스포츠 전용 잔디
• KTA (대한테니스협회) 공식 인증 제품
• 국제 표준 테스트 통과 : 충격 흡수율, 반발력, 미끄럼 저항 기준 적합
• 공식 경기장 적용 가능 : 협회 규정에 맞는 시공 조건 충족
• 실내·실외 테니스장 모두 사용 가능
숨터프 / 킹터프 20mm 주요 특징
구분 | 숨터프 | 킹터프 |
원사 굵기 | 조경용 대비 약 10배 두꺼운 6,000DTEX 스포츠 전용 PE원사 | 조경용 대비 약 10배 두꺼운 6,000DTEX 스포츠 전용 PE원사 |
파일 높이 | 20mm | 20mm |
제직기 종류 | 5/32 gauge(3.96mm) 3/16 gauge(4.76mm) | 5/32 gauge(3.96mm) 3/16 gauge(4.76mm) |
백코팅 | ESG 백코팅 | LATEX 백코팅 |
내마모성 | 50,000회 이상 마찰 테스트 통과 | 50,000회 이상 마찰 테스트 통과 |
복원력 | 탄성 회복 우수 | 탄성 회복 우수 |
규사 6호사 | 1제곱미터 당 25kg | 1제곱미터 당 25kg |
인증 | No2. MEDIUM-SLOW | No2. MEDIUM-SLOW |

펜스
"6m 미만의 설계로 개방감과 조명 효율까지 갖춘 고급형 구조물”
왜 테니스장에 높은 펜스가 필요할까요?
테니스는 빠른 속도로 공이 튀고 날아가는 스포츠입니다. 펜스는 단순한 울타리가 아니라, 공간을 안전하게 감싸고 시야 확보와 조명 구조까지 책임지는 경기장 필수 요소입니다.
펜스 구조의 특징
1. 높은 전고 = 뛰어난 개방감
• 6m 미만의 전고 설계로 시야 확보와 경기 집중도 모두 향상
• 외부 차단은 유지하면서도 답답하지 않은 공간감 제공
2. 조명 일체형 설계 가능
• 높은 기둥을 활용해 150W LED 조명을 펜스 상단에 부착 가능
• 조명기둥 불필요 → 시공비 절감 + 설치 공간 확보
• 코트 전체 균일한 조도 확보, 야간 경기 가능
3. 도리와 트러스 보강으로 흔들림 최소화
• 상·중·하부 도리 배치로 구조 일체화
• 코너·길이 구간에 트러스 보강 적용 시, 강풍이나 충격에도 흔들림 없이 장기 구조 안정성 확보
4. 안전한 출입 구조
• 휀스망과 동일 재질의 문틀 일체형 슬라이딩 게이트 or 여닫이문 구성
• 락장치, 충격완화 손잡이, 푸쉬풀 고정장치 등 부가 옵션 설치 가능

조명
"조명기둥 없이도 완벽한 시야를 확보하다”
테니스코트 1면 기준 (20m × 40m)
• 목표 조도: 800~1000lx (연습용/비공식 대회 기준)
• 조명: 150W LED 투광등 / 5700K / 120도 확산 렌즈 기준
조명 설치 개수별 조도 시뮬레이션
조명 수 | 설치 높이 | 평균 조도(lx) | 특징 |
10~12개 | 5.5~6m 미만 | 약 800~1000lx | 실용적, 균일 조도 확보 |
14~16개 | 6m 미만 | 약 1000~1200lx | 비공식 대회/방송 촬영 대응 |

방풍망
"바람을 막는 것 이상, 코트를 더 완벽하게 완성하세요”
왜 방풍망이 필요할까요?
• 테니스는 미세한 공기 흐름에도 영향을 받는 스포츠입니다.
• 바람이 많거나 시야가 분산되는 환경에서는 공의 궤도나 집중력에 큰 지장이 생깁니다.
• 방풍망은 플레이의 일관성과 시야 안정성을 확보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방풍망 제품 사양
항목 | 사양 |
재질 | 고밀도 폴리에스터 / PE 코팅 / 내후성 특수직물 |
투과율 | 약 25% 미만(15~20% 제품이 가장 이상적이며, ITF에서도 권장) |
색상 | 진녹색 / 남색 계열 (눈부심 방지 및 시각 안정) |
차단율 | 50% 이상 |
내구성 | 자외선 차단, 우천·강풍에 견디는 내후성 필수 |

그물망
“가볍고 유연하게, 더 강하고 안전하게”
1. 충격 흡수력이 뛰어남
• 공이 직접 부딪치거나, 선수가 펜스에 몸이 닿았을 때 철망에 비해 탄성이 높고 유연성 있는 재질로 반발력 최소화
• 공 튀김 현상도 적어 경기 흐름 유지에 유리
2. 녹슬지 않아 내구성이 우수함
• 합성섬유 재질로 제작되기 때문에 우천·자외선·한파에도 변형이나 부식 없음
3. 시야 확보 + 심리적 개방감
• 시선은 통과하지만 외부 시야는 은은하게 차단
• 철망보다 부드러운 인상으로️ 코트 개방감 + 안전감 동시 확보

보호패드
“작은 마감이 큰 안전을 지켜줍니다”
선수의 안전을 위한 작은 선택,
테니스장의 완성도를 높이는 디테일
펜스 기둥 보호패드는 빠르게 움직이는 선수들이 기둥과 충돌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부상을 예방해주는 완충 안전장치입니다.
특히 입구, 코너, 베이스라인 근처 등 충돌 위험이 높은 구간에 설치하면 작은 사고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습니다.
